티스토리 뷰

일본 구글 우회접속 바로가기 A to Z - 국가별 구글 우회 주소 방법 총정리 (2025년 최신)

 

목차

일본 구글 바로가기 주소 (영국, 호주 포함)

해외 구글 접속, 왜 필요할까?

똑똑한 구글, 내 위치는 어떻게 알까? (구글의 국가 인식 방법)

 왜 다른 나라 구글을 쓰고 싶을까? (해외 구글 접속 이유)

가장 쉬운 첫걸음! 원하는 국가 구글 주소 직접 입력하기

나 여기 있어요!' 구글 자동 국가 변경 막는 NCR(/ncr) 마법

구글 설정에서 '검색 지역' 직접 골라주기

한눈에 보는 주요 국가별 구글 바로가기 URL 표

나에게 딱 맞는 해외 구글 접속 방법 최종 선택 가이드

 

 

 

일본 구글 바로가기 주소 (미국, 영국 포함)

 

 

 

해외 구글 접속, 왜 필요할까요?

 

우리가 인터넷에서 궁금한 것을 찾을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친구, 바로 구글이죠! 그런데 혹시 한국 구글(google.co.kr) 말고, 일본 구글이나 미국 구글에 접속하고 싶었던 적 없으신가요? 분명히 인터넷 주소창에 'google.com'을 입력했는데, 눈 깜짝할 사이에 'google.co.kr'로 바뀌는 신기한 경험, 많은 분들이 해보셨을 거예요. 마치 구글이 "아, 당신은 한국에 계시는군요! 한국 맞춤 정보를 드릴게요!" 하고 알아서 챙겨주는 것 같죠.

 

  • 한국 구글은 사용자 위치 기반으로 한국어 정보현지 콘텐츠를 우선 제공함.
  • 하지만 일본 여행, 미국 한정 제품, 영국 뉴스현지 시선의 정보를 원할 때는 제한적임.

 


 

 

해외 구글 접속이 필요한 순간

  • 일본 구글에서 생생한 현지 여행 팁을 찾고 싶을 때
  • 미국 전용 제품이나 직구 아이템을 찾고 싶을 때
  • 영국에서 화제가 되는 뉴스를 직접 보고 싶을 때

  • 현지 정보가 필요할 때
    • 예: 일본 맛집, 영국 대학 정보 등 → 현지 구글에서 더 정확하고 생생한 정보 탐색 가능
  • 검색 결과의 문화/언어적 맥락 차이
    • 같은 단어라도 국가에 따라 완전히 다른 결과가 나옴
    • 예: “festival” → 미국은 코첼라, 일본은 마츠리 중심으로 결과 제공
  • 해외 전용 상품/서비스 찾기
    • 한국 구글에서는 잘 노출되지 않는 미국/영국 전용 제품 검색 시 유용
  • 접근 제한 콘텐츠 우회 (드물지만 가능)
    • 일부 콘텐츠(영상, 웹사이트)는 국가 제한이 걸려 있음
    • 해당 국가 구글을 통해 우회 가능성이 높아짐 (※VPN 병행 필요 시도)

 

왜 자꾸 한국 구글로 연결될까?

  • 구글은 IP 주소와 브라우저 설정(언어, 지역)을 바탕으로 자동으로 한국 페이지를 안내함.

 

해외 구글로 접속하는 쉬운 방법 (완전 간단)

  1. 직접 주소 입력하기
  2. VPN 사용하기
    • IP를 해당 국가로 변경하면 진짜 현지인처럼 구글을 이용할 수 있음.
  3. 브라우저 언어 설정 바꾸기
    • 영어, 일본어 등 원하는 언어로 설정하면 관련 결과가 더 잘 노출됨.
  4. 검색 도구 활용하기
    • '검색 도구 > 모든 언어 > 영어/일본어'로 변경 가능.

 

 

가장 쉬운 해외 구글 접속법 - 국가별 주소 직접 입력하기

  1. 브라우저를 연다 (크롬, 웨일, 엣지 등).
  2. 주소창에 원하는 국가별 구글 주소를 정확히 입력.
  3. 엔터 키를 누르면 해당 국가 구글 접속 완료!

 

주요 국가별 구글 주소 


이 방법의 장점

  • 설정 필요 없이 바로 접속 가능
  • 가끔만 해외 구글을 사용할 때 간편함

 

주의할 점

  • 한국 IP인 경우, google.com이 자동으로 google.co.kr로 변경될 수 있음
  • 국가 구글 주소로 접속해도 검색 결과가 여전히 한국 위주일 수 있음
  • 매번 주소를 직접 입력하는 번거로움이 있음

 

 

 

 

 

구글 자동 국가 변경을 막는 NCR 기능

NCR이란?

  • NCR = No Country Redirect
  • 구글에 “자동으로 내 나라 페이지로 넘기지 마!” 라고 요청하는 기능
  • google.com → google.co.kr 자동 전환을 막아줌

사용 방법

  1. 브라우저 주소창에 https://www.google.com/ncr 입력
  2. 엔터 → 구글 메인 페이지로 접속
  3. 자동으로 ‘google.com’ 유지되며, 특별한 쿠키가 브라우저에 저장됨
  4. 이후부터는 google.com만 입력해도 리디렉션 없이 그대로 유지

주의 사항

  • 검색 결과까지 완벽하게 미국식으로 바꾸진 않음
    → IP 주소, 구글 계정 설정 등은 여전히 영향 미침
  • 브라우저 쿠키 삭제 시 효과 사라짐
    → 다시 https://www.google.com/ncr 재접속 필요

언제 유용할까?

  • google.com이 자꾸 google.co.kr로 바뀌는 것이 답답할 때
  • 미국 기준의 검색 결과 페이지를 유지하고 싶을 때

 

 

 

 

 

검색 결과가 아직도 한국 위주라고 느껴질 때?

주소 변경이나 NCR만으로 부족할 때는
👉 ‘검색 지역 설정’을 직접 바꿔야 합니다!

🛠️ 구글 검색 지역 설정 변경 방법 (PC 기준)
구글 홈페이지 접속

어떤 국가 구글이든 상관 없음 (google.com / google.co.kr 등)

우측 하단의 ‘설정’ 클릭

‘검색 설정’ 또는 ‘Search settings’ 선택

하단으로 스크롤 → '검색결과 지역(Region Settings)' 찾기

기본값은 ‘현재 지역’
→ 원하는 국가 (예: 일본, 미국, 영국 등)를 직접 선택

선택 후, 페이지 맨 아래에서 ‘저장’ 버튼 클릭

✅ 이 설정을 하면?
구글은 검색 주소와 상관없이,
선택한 국가 중심의 웹사이트/정보를 우선적으로 보여줌
→ 실제로 해당 국가에서 검색한 것과 비슷한 결과 제공

구글 계정에 로그인한 경우, 설정이 계정에 저장되고 동기화됨
→ 다른 기기에서도 유지 가능

💡 추가 팁
이 설정은 ‘검색 언어 설정’과는 다름
→ 언어보다 정보 출처 국가를 바꾸고 싶을 땐
➤ ‘검색 지역’ 설정이 더 효과적

언제든지 다시 ‘현재 지역’으로 변경 가능

 

 

 

 

 

 

한눈에 보는 주요 국가별 구글 바로가기 URL 표

앞서 여러 방법들을 배웠지만, 가장 기본이 되는 '직접 주소 입력' 방법을 사용하려면 각 나라별 구글 주소를 알아야 하죠.

 

매번 "일본 구글 주소가 뭐였더라?", "영국 구글은 어떻게 들어가지?" 하고 검색하는 것도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그래서 여러분의 편의를 위해, 우리가 자주 찾거나 궁금해할 만한 주요 국가들의 구글 바로가기 주소를 아래 표로 깔끔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 표만 즐겨찾기 해두거나 캡처해두시면, 필요할 때마다 원하는 나라 구글로 슝~ 하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을 거예요.

 

아래 표를 참고해서 필요할 때마다 간편하게 사용하세요! 주소를 클릭하면 바로 해당 국가 구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링크도 걸어두었습니다. (새 창에서 열리도록 설정했어요!)

[표] 주요 국가별 구글 바로가기 주소
국가명 구글 바로가기 주소 (URL)
일본 https://www.google.co.jp
미국 (글로벌) https://www.google.com (자동 변경 시 /ncr 또는 지역 설정 활용)
영국 https://www.google.co.uk
독일 https://www.google.de
프랑스 https://www.google.fr
캐나다 https://www.google.ca
호주 https://www.google.com.au
중국 (홍콩) https://www.google.com.hk
대만 https://www.google.com.tw
베트남 https://www.google.com.vn
인도 https://www.google.co.in
브라질 https://www.google.com.br
러시아 https://www.google.ru

이 표에 없는 다른 나라의 구글 주소가 궁금하다면, 보통 'google' 뒤에 해당 국가의 인터넷 도메인 코드(예: 이탈리아는.it, 스페인은.es)를 붙이면 되는 경우가 많으니 시도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해외 구글 접속 방법 최종 선택 가이드 정리

 

 국가별 구글 주소 직접 입력

예: https://www.google.co.jp, https://www.google.co.uk

  • 언제
    • 특정 국가 구글을 가끔 사용해야 할 때
    • 특정 국가 도메인이 정확히 필요한 상황
  • 장점
    • 가장 쉽고 빠름
    • 별도 설정 없이 곧바로 접속 가능
  • 단점
    • 매번 주소를 입력해야 함
    • 검색 결과는 여전히 IP 위치 영향을 받음
    • google.com은 자동으로 google.co.kr로 전환될 수 있음

 

NCR 기능 사용 (/ncr)

예: https://www.google.com/ncr

 

언제

  • google.com이 자꾸 google.co.kr로 리디렉션되는 게 불편할 때
  • 미국/글로벌 기반의 구글 페이지를 계속 유지하고 싶을 때

 

장점

  • 자동 국가 변경(리디렉션) 방지
  • 한 번 설정하면 일정 기간 지속됨 (쿠키 기반

 단점

  • 검색 결과 내용은 여전히 *위치(IP)*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음
  • 쿠키 삭제 시 다시 접속 필요

 

검색 지역 설정 변경

경로: 구글 설정 > 검색 설정 > 검색결과 지역

 

 

언제?

  • 특정 국가(예: 일본, 미국) 중심의 검색 결과를 꾸준히 보고 싶을 때
  • 콘텐츠 내용 자체가 현지 기준이길 원할 때

 

장점

  • 검색 결과의 내용 자체가 국가 기준으로 달라짐
  • 로그인 계정에 적용되어 여러 기기에서도 유지 가능

 

단점

  • 설정 변경이 다소 번거로움
  • 나중에 원상복구 시 재설정 필요

 

활용 팁

  • 평소엔 NCR로 google.com 유지
  • 필요할 때만 검색 지역 변경 또는 국가 주소 직접 입력
  • 목적과 빈도에 따라 유연하게 조합해서 사용하기!

 

정답은 없습니다. 상황에 맞춰 쓰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


이제 구글 검색도 똑똑하게, 국경을 넘어 정보의 세계로ㅎㅎ